티스토리 뷰

토익/TIL

토익 TIL 7일차 (RC Unit 13 / 14)

하몬드 2025. 1. 13. 16:06


 

Unit 13 | 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의 이해

관계대명사는 접속사 역할을 함과 동시에, 관계사절에서 주어, 한정사, 또는 목적어 역할을 한다.

관계대명사는 선행사를 수식하거나, 앞서 언급한 것에 대한 부연 설명을 한다.

 

We have already received feedback from the employees. + The employees attended yesterday's workshop.

→ We have alreday received feedback from the employees [who / those] attended yesterday's workshop.

우리는 이미 어제 워크숍에 참석했던 직원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았다.

▷ 관계대명사인 who는 선행사가 사람명사일 때 쓰인다.

 

 

▶  관계대명사의 종류

관계대명사의 형태는 선행사와 관계대명사의 격에 따라 결정된다.

선행사 주격 소유격 목적격
사람 who, that whose whom, that
사물 which, that whose which, that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 what

 

1. 주격 관계대명사: 바로 뒤 동사가 나온다.

The novel is based on the documentary [which / whom] was producted in the 1990s.

그 소설은 1990년대에 제작된 다큐멘터리에 기초하고 있다.

 

2. 소유격 관계대명사: 바로 뒤 명사를 수식한다.

The crowds gathered to see the prime minister [whose / who] visit hit the headlines in local papers.

군중들은 총리를 보려고 모여들었고, 그의 방문은 지역 신문에 대서특필되었다.

 

3. 목적격 관계대명사: 뒤에 주어와 동사가 오며, 관계사절이 목적어 역할을 한다.

The discount coupon [that / whose] purchasers receive with their first order is valid for a month.

구매자들이 첫 주문과 함께 받게 되는 할인 쿠폰은 한 달 동안은 유효하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이 가능하다.

 

The architect showed officials a floor plan of the airprot (that) he [designed / was designed].

건축가는 관계자들에게 자신이 설계한 공항의 평면도를 보여주었다.

▷ 생략된 관계대명사 뒤 주어인 he는 공항의 평면도를 설계한 주체이므로 빈칸에 수동태는 올 수 없다.

 

 

▶  '주격 관계대명사 +  be동사'의 생략

주격 관계대명사 자체는 생략할 수 없지만 '주격 관계대명사 + be동사'는 생략 가능하다.

이 경우 선행사 뒤 분사가 와서 능동태와 수동태의 축약 구조를 이룬다.

뒤에 목적어가 있으면 현재분사가 없다면 과거분사가 온다.

 

Dr. Gilbert (who is) [leading / lead] the motivation workshop

has recently been awarded a prize from the mayor.

동기부여 워크샵을 이끌고 있는 길버튼 박사는 최근 시장으로부터 상을 받았다.

 

It will take at least 4 years to restore the historici palace (that was) [damaged / was damaged] by a big fire.

큰 화재로 손상된 유서 깊은 궁전을 복구하는 데 최소 4년이 걸릴 것이다.

 

 

▶  that의 용법

관계대명사 that은 선행사가 사람일 때와 사물일 때 모두 수식할 수 있으며 뒤에 절을 이끈다.

하지만 콤마 뒤, 전치사 뒤에는 관계대명사 that을 쓸 수 없다.

 

There was a retirement celebration of John Weinstein for [whom / that] employees have great respect.

직원들이 대단히 존경하는 존 와인스타인씨의 은퇴 기념식이 있다.

▷ 빈칸은 전치사 뒤 목적어 자리로 앞에 전치사가 있기에 관계대명사 that은 올 수 없다.

     선행사가 사람명사일 때 쓰이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이 빈칸에 와야한다. 

 

 

▶  전치사 + 관계대명사

선행사가 관계대명사절에서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인 경우 '전치사+관계대명사' 덩어리를 만든다.

 

The weahter is scorching this week. + Citizens are encouraged not to go outside during this week.

→ The weather is scorching this week during [which / when] citizens are encouraged not to go outside.

이번 주 날씨가 타는 듯이 더우니 (이번 주 동안) 시민 여러분은 밖으로 나가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 해당 관계대명사 절에서 선행사는 this week로 전치사 during과 합쳐져 '이번 주 동안' 이란 의미를 가진다.

     전치사 뒤엔 목적어(목적격 관계대명사가)오며 전치사(when)는 올 수 없다.

 

 

▶  수량 표현 + of + 관계대명사

'수량 표현 + of + 관계대명사' 뒤에는 불완전한 절이 온다.

 

The reporter interviewed 10 enterpreneurs, most of [whom / them] didn't have enough money in their early stages.

기자는 10명의 사업가들을 인터뷰했는데, 그들 중 다수가 초기에 충분한 자본이 없었다.

▷ 빈칸에 them이 오면 콤마 뒤 most of them이라는 명사구 주어가 만들어진다.

     예문에는 접속사가 없으므로 두 문장을 이어주는 접속사 역할을 하는 관계대명사가 와야한다.

     빈칸은 선행사가 사람이고, 전치사 뒤에 위치하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이 와야한다.

 

Students are asked to read reference books, all of which [are / is] written in English.

학생들은 참고도서를 읽어야 하는데, 그것들은 모두 영어로 쓰여 있다.

▷ '수량 표현 + of + 관계대명사' 덩어리 뒤 동사는 선행사와 수 일치 되어야 한다.

 

 

▶  관계부사의 종류

관계부사는 '접속사+부사' 역할을 하며 '전치사 + 관계대명사'로 대체할 수 있다.

관계부사절은 선행사를 수식하지만 관계부사의 선행사는 생략되기도 한다.

선행사 관계부사 전치사+관계대명사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 when in which / on which / at which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 where in which / on which / at which
이유를 나타내는 명사 why for which
방법을 나타내는 명사 how in which

 

Welmart will install self-checkout counters. + Customers can process their own purchases at the counters.

→ Welmart will install self-checkout counters at [which / where] customers can process their own purchases.

  Welmart will install self-checkout counters [where / which] customers can process their own purchases.

웰마트는 고객들이 직접 자신의 구매품을 계산할 수 있는 셀프계산대를 설치할 예정이다.

 

The factility manager has the key to the storage room [where / why] the office supplies are kept.

그 시설 관리자는 사무용품이 보관되어 있는 창고 열쇠를 가지고 있다.

▷ 선행사는 장소에 해당하며 빈칸 뒤엔 절이오므로 장소를 나타내는 관계부사 where이

     빈칸에 와야한다. ('key to ~'는 '~의 열쇠'란 뜻이다.)  

 

 

▶  관계부사 vs 관계대명사

관계부사와 관계대명사는 뒤에 주어가 오는지의 여부에 따라 구별할 수 있다.

관계대명사 뒤에는 불완전한 절이 오고, '전치사+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 뒤에는 완전한 절이 온다.

 

We aim to reply to all emails within 24 hours, but there may be times [when / which] we are slow to respond.

모든 이메일에 24시간 이내로 답변하려고 하지만, 대응이 늦어질 대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뒤에는 주어가 올 수 없으므로 빈칸에는 절을 이을 수 있는 관계부사 when이 온다.

 

 

ETS 실전문제 오답노트

 

When the foreign delegates visted La Fluer Restaurant, ____ were served a special mushroom appetizer.

외국 대표단이 라 플루어 레스토랑을 방문했을 때, ____은 특별한 버섯 에피타이저를 제공받았다.

 

A) who    B) theirs    C) whom    D) they (그들)

▷ 해당 구문은 종속 접속사 when에 의해서 종속절과 주절로 나뉜다.

     빈칸은 주절의 주어 자리이기에 소유격 인칭대명사 B와 목적격 관계대명사 C는 올 수 없다.

     또한 관계대명사 A는 선행사를 필요로 하기에 또한 독립된 주절의 주어 자리에는 올 수 없다.

     따라서 빈칸에는 주어 역할이 가능한 주격 인칭대명사인 D가 온다.

 

 

Managers often have to decide between several courses of action, none of ____ is completely right or wrong.

관리자들은 종종 몇 가지 행동 방침들 사이에서 결정을 해야 하는데, ____ 중 어느 것도 전적으로 옳거나 틀리지 않다.

 

A) that    B) which    C) when    D) where

▷ 빈칸 뒤에 불완전한 절이 오므로 관계부사 C, D는 빈칸에 올 수 없다.

     A는 전치사 앞에서 쓰지 못하기에 올 수 없고, 전치사의 목적어 역할을 할 수 있는 B가 와야한다.


Unit 14 | 명사절 접속사

 

▶ 명사절 접속사의 역할

'접속사+(주어)+동사'로 이루어진 덩어리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할 때 명사절이라 부른다.

명사절 접속사 자리에는 although, because, while 등과 같은 부사절 접속사를 쓸 수 없다.

 

that ~라는 것    whether / if ~인지 아닌지    who 누가    whose 누구의    whom 누구를

what 무슨, 무엇    which 어느, 어느 것    when 언제    where 어디에    how 어떻게, 얼마나    why 왜

 

주어                   [Whether / While] we can secure the research funding or not is still uncertain.

                              우리가 연구 자금을 확보할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 be동사의 위치를 통해 빈칸 뒤 절이 명사절임을 알 수 있다.

                              --------------------------------------------------------------------------------------

동사의 목적어   The clinic decided [that / because] it will terminate the contract with the currne supplier.

                              병원은 현재 남품 업체와의 계약을 해지하기로 결정했다.

                          ▷ 타동사 decide는 목적어로 필요로 하기에 빈칸에는 명사절을 이을 수 있는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와야 한다. 부사절은 부사 역할을 하기에 because는 올 수 없다.

 

 

▶ 명사절 접속사의 관계대명사 구별

that절이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하면 명사절이고, 앞 명사를 수식하면 관계사절이다.

 

명사절 접속사    The director asked [that / whereas] researchers meet her in person.

                              이사는 연구원들이 자신을 직접 만나야 한다고 요청했다.

                          ▷ that 명사절이 타동사 asked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다.

                               whereas는 '반면에'라는 뜻을 가진 부사절 접속사이다.

                              --------------------------------------------------------------------------------------

관계대명사        The lecturer will answer inquiries [that / whether] you might have.

                              강연자는 당신이 할 수 있는 질문들에 대답해줄 것이다.

                          ▷that 관계대명사절이 앞 명사 inquiries를 수식하고 있다. 명사절은 앞 명사를 수식할 수 없다.

 

   

▶ 주어 역할을 하는 that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은 It~that 구문의 진주어 역할을 한다.

 

It is obvious [that / since] the domestic demand has risen for six months.

국내 수요가 지난 6개월 동안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빈칸은 형용사 obvious의 보어 역할을 할 수 있는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와야한다.

 

 

▶ 목적어 역할을 하는 that

that 명사절을 직접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assure 사람 that (~에게 ~라는 것을 장담하다)   

inform / notify 사람 that (~에게 ~라는 것을 알려주다)

remind 사람 that (~에게 ~라는 것을 상기시키다)

 

 

▶ that절 관용표현

형용사 뒤 be aware that ~라는 것을 알고 있다    be certain / sure / confidnet that ~을 확신하고 있다

be hopeful / optimistic that ~라는 것을 희망 / 낙관하다    be afraid that ~할 것을 걱정하다
명사 뒤 the fact that ~라는 사실    the news that ~라는 소식    the rumor that ~라는 소문

the evidence that ~라는 증거    the idea that ~라는 생각    the opnion that ~라는 의견

 

 

▶ 명사절 접속사 that과 what의 구별

명사절 접속사 that 뒤에는 절이, what 뒤에는 불완전한 절이 온다.

 

The book talks about [what / that] is most important for success.

그 책은 성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에 대해 이야기한다.

 

 

▶ 명사절 접속사 whether / if

명사절 접속사 whether과 if는 미정의 사실을 나타내기에 or을 자주 동반한다.

if는 동사의 목적어 자리에서만 whether을 대신할 수 있다.

 

주어                   [Whether / If] the gallery will rearrange its displays has not been approved.

                              미술관이 전시품을 재배치할 것인지는 승인되지 않았다.

                          ▷ whether절은 not approved와 같이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표현과 함께 쓰인다.

                               주어 자리에는 whether 대신 if가 쓰일 수 없다.

                             --------------------------------------------------------------------------------------

동사의 목적어   I wondered [if / about] the university was first foudned in Sydney or in Melbourne.

                              난 그 대학교가 처음에 시드니에 지어졌는지 멜버른에 지어졌는지 궁금했다.

                          ▷ about은 전치사이므로 뒤에 절이 올 수 없고,

                              예문에 or이 있으므로 빈칸에 올 접속사에는 if가 적절하다.

 

▶ whether + to부정사

접속사 whether 뒤에 이어지는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같을 경우,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to부정사로 바꿀 수 있다.

that과 if를 제외한 모든 명사절 접속사는 '접속사 + to부정사' 형태로 쓰는 것이 가능하다.

 

The manager hasn't yet decided [whether / while] to attend the weeklong seminar series.

부장은 일주일 동안 진행하는 세미나 시리즈에 참석할지 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

▷ 부사절 접속사 while은 주어를 생략할 경우 뒤에 분사가 온다.

 

Ms. Jackson is unsure as to whether [to buy / buy] or rent a car.

부장은 일주일 동안 진행하는 세미나 시리즈에 참석할지 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

▷ whether뒤 주어가 없다면(생략됐다면) 뒤에는 to 부정사가 와야한다.

 

 

▶ that과 whether 구별하기

that(~라는 것)은 뒤에 확정 사실을 나타내는 동사가 오고, 

whether(~인지 아닌지)은 뒤에 미정 사실을 나타내는 동사가 온다.

 

One of the largest computer companies concluded [that / whether] it will acquire the software developing company.

가장 큰 컴퓨터 회사 중 하나가 소프트웨어 개발사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Our team is wondering [whether / that] we will win the contract.

우리 팀은 우리가 계약을 따낼지 아닐지 궁금해하고 있다.

 

 

▶ 의문대명사

의문대명사는 명사절d을 이끌며, 명사절에서 주어/목적어 역할을 한다. 뒤에 불완전한 절이 온다.

 

who 누가 ~인지    whom 누구를 ~인지    what 무엇을 ~인지    which 어느 것을 ~인지

 

The newsletter provides a comprehensive explanation about [what / where] employees need to know.

회사 소식지는 직원들이 알아야 하는것에 대해 종합적 설명을 제공한다.

▷ 빈칸 뒤 불완전한 절은 '직원들이 알아야 하는 것'이라는 뜻으로 '무엇'에 해당하기에

     맥락상 빈칸의 의문대명사 자리에는 what이 와야하며 where은 장소를 나타내기에 올 수 없다.

 

 

▶ 의문형용사

의문형용사는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이면서, 명사절에서는 바로 뒤 명사를 수식하는 한정사 역할을 한다.

 

which 어느 ~인지    what 무슨 ~인지    whose 누구의 ~인지

 

The survey asked [which / whose] design for the new product is best.

회사 소식지는 직원들이 알아야 하는것에 대해 종합적 설명을 제공한다.

▷ 빈칸 뒤 명사를 수식하는 의문형용사 자리엔 맥락생 '어떤'을 의미하는 which가 와야한다.

 

They are petitioning to have [what / which] remians of the courthouse's original architectural elements preserved.

그들은 법원 청사 유적에 남아 있는 독창적인 건축학적 요소들이 보존되도록 청원하고 있다.

▷ remains는 '남아 있다'라는 동사로 무엇이 남아있는지 설명하기 위해 빈칸에는 what이 와야한다.

    which는 특정 선택지를 지칭하는 경우에 쓰이지만, 예문에서는 선택지가 주어지지 않았다.

 

 

▶ 의문부사

의문부사는 명사절을 이끌며 명사절에서 부사 역할을 한다. 뒤에 완전한 절이 온다.

 

when 언제 ~인지    where 어디에서 ~인지    how 어떻게 / 얼마나 ~인지    why 왜 ~인지

 

The restaurant should be able to explain [how / which] long it has had each ingredient on shelf.

식당은 각 재료를 얼마나 오랫동안 선반에 놔두었는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뒤에 기간을 나타내는 표현인 long이 있으므로 빈칸에는 맥락상 '얼마나' 라는 뜻의 의문부사가 와야한다.

 

 

▶ 복합관계대명사

명사절을 이끌어 주어 / 목적어 역할을 하거나, 부사절을 이끌어 수식어 역할을 한다. 뒤에 불완전한 절이 온다.

복합관계대명사 명사절 부사절
who(m)ever anyone who (~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no matter who (누가 ~하든 상관없이)
whatever anything that (~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no matter what (무엇이 ~하든 상관없이)
whichever anything that (~하는 것은 어떤 것이든지) no matter which (어느 것이 ~하든 상관없이)

 

[Whoever / Who] wants to take a paid vacation of more than a week should tell their supervisor.

일주일 이상의 유급 휴가를 받기 원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자신의 팀장에게 말해야 한다.

▷ 조건을 나타내는 평서문에서는 복합관계대명사가 쓰인다.

     또한 뒤에 명사절을 이끌며 '~든지' 라는 뜻이 적합한 위치에도 복합관계대명사가 쓰인다.

 

 

ETS 실전문제 오답노트

 

Miyo Technologies encourages managers to take responsibility for ____ their teams produce.

미요 테크놀로지스는 팀이 생산하는 ____에 대해 관리자들이 책임지도록 독려한다.

 

A) them    B) that    C) what (것)    D) whose

빈칸에는 전치사 for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구를 이어줄 명사절 접속사가 와야한다.

     빈칸 뒤 불완전한 절이 오므로 B는 빈칸에 올 수 없어 C가 오게된다.

 

 

Mr. Song has not yet decided ____ of the three candidates is right for the position of lead product developer.

송 씨는 3명이 지원자 중 ____ 제품 수석 개발자 직책에 적합한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A) which (누가)    B) what    C) whom    D) whoever

▷ 빈칸은 동사 decided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자리에 해당한다.

     주어진 선택지(three candidates) 중 특정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되는 접속사는 A이다.

     B, D는 예문에서 주어진 선택지가 있기에, C는 목적어 역할을 하기 빈칸에 올 수 없다.

 

 

Many readers state that the editorial page of the daily newspaper is

more enlightening but admit that ____ they read first is the sports page.

많은 독자들이 일간 신문의 사설면이 더 계몽적이라고 말하지만 그들이 처음 읽는 것은 스포츠면이라는 점을 인정한다.

 

A) what    B) these    C) if    D) because

▷ 빈칸은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they read first"를 이끄는 명사절 접속사자리이다.

     빈칸에 명사절 접속사가 옴으로써 빈칸 뒤 불완전한 절은 명사구로써 사용된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