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
인프라 설계
인프라를 만들 땐 인프라를 만든 목적을 이해하고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기능이나 성능 등을 조건으로 기준을 정리한다.
조건이 정리되면 조건에 맞는 기획서와 설계서를 작성해 책임자에게 결재를 올린다.
인프라 구축
필요한 기능이나 소프트웨어 등을 발주해 남품을 받으면 인프라 구축을 시작한다.
인프라 구축 작업은 인프라 엔지니어가 직접하라 때도 있고 오퍼레이터나 외부 업체에 맡길 때도 있다.
대기업을 고객으로 둔 SI(System Integration) 업계에선
하드웨어 설치작업은 CE(Customer Engineer)가,
서버나 스토리지 설정은 SE(System Engineer)가,
긜고 네트워크 장비 설정은 NE(Network Engineer)가 하는 경우가 많다.
웹 기반 업계에선 처음부터 끝까지
인프라 엔지니어의 손을 거치는 경우가 많다.
인프라 운영
구축한 IT 인프라는 24시간 365일 내내 정상적으로 가동되어야 하므로,
인프라를 운여하는 회사는 몇 개의 팀을 만들어 24시간, 365일 교대로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프라 운영 조직을 만들 수 없을 땐 'MSP(Managed Service Provider)라 불리는
IT 인프라 운영 관리 업자 에게 업무를 위탁할 수도 있다.
인프라 운영엔 장애 대응, 수용량 관리, 인프라가 원인이 아닌 문제 파악 등이 있다.
인프라 구성요소
퍼실리티
퍼실리티(facility)란 건물, 시설, 설비 등을 의미한다.
퍼실리티엔 데이터 센터와 데이터 센터를 구성하는 랙, 에어컨, 발전기, 변압기, 소화 설비 등이 포함된다.
서버, 스토리지
IT 서비스 제공하는 서버와, 데이터를 대량으로 저장하는 스토리지
네트워크
서버와 스토리지를 연결하고 인터넷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기술자 관점에서의 인프라 엔지니어
인프라 엔지니어는 우수한 기술자여야 한다.
문제 발생시 단기간에 본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며,
정확한 지식과 정보 수집력을 지니고 최신동향에도 정통할 필요가 있어야한다.
서버 하드웨어
서버 하드웨어엔 'IA(Intel Architecture) 서버'와 '엔터프라이즈 서버' 두 가지가 있다.
서버에 이용되는 부품은 해마다 다양화되어, 각 차이와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어렵다.
서버 운영체제
서버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은 '리눅스, 윈도우, 유닉스' 세 가지로 집약된다.
각 운영체제 개념이나 기능에 정통한 것은 어려운 일은 아니지만 이론과 실전은 다르다.
어떻게 실전 경험을 쌓느냐가 기술자의 성장에서 매우 중요하다.
스토리지
새로운 기술의 장단점을 파악해 가성비 좋은 스토리지를 선정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설계와 구축
오늘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은 TCP/IP로 거의 집약된다.
네트워크를 구축할 땐 설계 단계부터 모든 각도에서 검토해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인터넷에서 네트워크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야 비로소 성립한다.
통신 장애시 자신들의 문젠지 상대방의 문제인지 파악할 줄 알아야 한다.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크 장비의 주된 역할은 통신 교환이다.
연결하는 서버 및 네트워크 장비 수와 커넥터 차이, 통신량을 얼마나 빠르게 교환하고 싶은지,
라우터, 각 스위치의 차이를 파악해두면 크게 실수할 일은 없다.
네트워크 장비는 업체마다 명령 체계가 달라서 업체별 명령 체계를 학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고자 도입할 네트워크 장비의 통일이 비교적 자주 이루어진다.
선정자로서의 인프라 엔지니어
시스템 구성
프로젝트에선 어떤 시스템을 어느 정도의 규모로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 검토한다.
인프라 엔지니어는 몇 가지 제안 중에서 최선의 구성을 선택해야 한다.
서버 사양 선정
인프라 엔지니어는 구매하려고 하는 서버의 사양을 선정한다.
서버 부품과 사양을 하나씩 결정하는 것도 인프라 엔지니어의 중요한 역할이다.
네트워크 구성
랙에 설치할 스위치 개수, 각 스위치 수용량, 채택할 업체, 보증 기간 등을 검토해야한다.
데이터 베이스 설계
- R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선정
(RDBMS엔 오라클, SQL, MySQL, PostgreSQl등이 있다.)
- 필요 용량 계산
- 데이터 베이스 스키마와 물리적인 데이터 배치 결정
운영 시스템
시스템을 어떻게 감시하고 운영할 것인지 검토한다.
사내 책임 범위 예시